넷플릭스는 더 이상 무제한 계정 공유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공유 추가 요금이라는 새로운 과금 정책을 통해, 이제는 계정을 나눠 쓰려면 공식적인 절차와 함께 요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특히 한국에서도 이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가족 외 사용자와의 공유에는 반드시 추가 등록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넷플릭스 공유 추가 요금의 구조와 요금제별 적용 방식, 그리고 실제 사용 시 유의해야 할 점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왜 공유에 추가 요금이 생겼을까?
과거 넷플릭스는 한 계정을 최대 4명까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수익성과 불법 계정 공유 이슈로 인해 점차 변경되었고, 공식 공유자는 요금을 납부하고 등록해야 하는 체계가 생긴 것입니다.
넷플릭스는 ‘가족 단위 사용’을 전제로 하지만, 공유자가 다른 위치에서 접속하면 요금을 부과하는 정책으로 변경한 셈입니다.
요금제에 따라 공유자 추가 기준이 다르다
구독 플랜 | 동시 시청 인원 | 공유 가능 여부 | 추가 인원 수 | 1인당 요금 |
---|---|---|---|---|
광고형 베이직 | 1명 | ❌ 불가능 | 0 | – |
스탠다드 | 2명 | ⭕ 가능 | 1명 | 5,000원 |
프리미엄 | 4명 | ⭕ 가능 | 2명 | 5,000원 |
즉, 프리미엄 요금제를 사용하면 최대 6명이 넷플릭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셈이며, 공유자를 추가할수록 요금이 늘어납니다. 하지만 여럿이 비용을 나누는 구조라면 오히려 경제적일 수도 있습니다.
공유자 등록은 이렇게 합니다
1단계: 계정 메뉴 접근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에서 로그인 후 ‘계정’ 메뉴로 이동합니다.
2단계: ‘추가 멤버’ 관리 선택
‘멤버 관리’ 또는 ‘추가 회원 초대’ 항목을 클릭합니다.
3단계: 이메일 주소 입력
공유할 사람의 이메일을 입력하고 초대를 전송합니다.
4단계: 수락 및 프로필 생성
공유자는 수신된 링크를 통해 프로필을 만들고 이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모든 공유자는 독립된 시청 기록과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며, 저장 콘텐츠나 즐겨찾기도 개별로 관리됩니다.
공유 추가 요금 계산 예시
조합 | 총 요금 | 1인당 분담 시 |
---|---|---|
스탠다드 + 1인 공유 | 13,500 + 5,000 = 18,500원 | 약 6,200원 (3인 기준) |
프리미엄 + 2인 공유 | 17,000 + 10,000 = 27,000원 | 4,500원 (6인 기준) |
대표 계정 한 명이 결제를 진행하고, 공유자와 정산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지인과의 이용이 바람직합니다.
사용 시 주의사항
- 정기적 접속 확인 필요: 공유자는 주기적으로 위치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 해외 접속 제한: VPN을 이용한 우회 접속 시 차단될 수 있습니다.
- 기기 변경 시 확인 요청: 새로운 기기에서 로그인하면 대표 계정 인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제가 직접 사용해보았을 때도, 공유자가 스마트폰을 교체한 후 자동 로그아웃되었고, 대표 계정이 위치 확인과 재승인을 진행해야만 재접속이 가능했습니다. 이런 점은 공유 전 서로 간의 사전 합의가 있어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 공유 추가 요금제, 이렇게 이해하자
- 스탠다드: 최대 3인 사용 가능 (추가 1명 유료)
- 프리미엄: 최대 6인 사용 가능 (2명까지 유료 추가 가능)
- 공유자 1인당 추가 요금은 월 5,000원
- 광고형 베이직 요금제는 공유 자체가 차단됨
- 공유자는 별도 프로필 및 시청 환경 제공
넷플릭스의 공유 정책은 예전처럼 자유롭지는 않지만, 공식 경로를 통해 적절한 비용을 지불하면 안정적으로 여러 명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구조입니다. 요금이 부담스럽다면 여러 명이 함께 계획적으로 공유 플랜을 구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